2018.10.08 건천


iPhone 7














2017.10.26.


비교컷을 좀 찍긴 했는데 리뷰로 이어질지는 아몰랑!



오후의 빛



2017.05.07. 청송


iPhone 7



2017.05.03. 경주 건천


iPhone 7

빛이 좋은 오후다.


간만에 미세먼지도 황사도 없어 하늘이 청명하다. 낮은 해가 만들어주는 그림자가 길게 늘어지고 세상에 입체감이 더해지기 시작한다. 사진가들이 사랑할 수 밖에 없는 황금 시간대, 이대로 사무실에 쳐박혀 있을 수는 없겠다. 단촐한 카메라 하나를 달랑 들고 밖으로 나갔다. 저녁밥은 안먹어도 상관없다.




회사에서 차로 10분이면 올 수 있는 금척리. 경주와 건천을 동서로 잇는 도로 양편에 38기의 크고 작은 고분들이 산재한 곳이다. 금척이란 금으로 만든 자를 말하는데 이 곳에 금척이 묻힌 무덤이 있다고 하여 마을 이름도 금척리다. 금척리 고분군에는 아래와 같은 전설이 있는데.




옛날 신라에 금자를 왕에게 바친 사람이 있었다. 죽은 사람이라도 이 금자로 한번 재면 다시 살아나고, 무슨 병이라도 금자로 한번 쓰다듬으면 그 자리에서 낫는다는 신기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왕은 이 금자를 국보로 여겨 매우 깊숙한 곳에 두었다. 이런 소문이 당나라에 전해지자 당나라에서는 사신을 보내 금자를 보내달라고 요청하였다. 왕은 국보에 해당하는 금자를 달라고 하는 무뢰한 당나라 사신에게 순순히 금자를 내줄 수가 없었다. 곧 신하에게 명하여 토분을 만들고 그 속에 금자를 파묻었으며 주변에 다른 토분을 만들어 어느 곳에 금자를 묻었는지 알 수 없게 하였다. 그리하여 당나라 사신은 그 많은 토분을 헤치고 금자를 찾아낼 기력이 없었던 듯 물러나고 말았다. 왕의 지략으로 금자를 당나라에게 빼앗기지 않았으나, 이후 어느 토분에 금자가 묻혔는지는 아무도 모르게 되었다고 한다. 사적 제43호로 지정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금척리 고분군 (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초판 1994., 개정판 23쇄 2012., 돌베개)




금척리로 가는 길. 오후 5시가 넘자 인근 농공단지 등에서 일하는 것으로 보이는 주민들이 띄엄띄엄 퇴근해서 오고 있었다. 평소 찾는 이가 거의 없는 이 곳에 카메라를 들고 나타난 낯선 이를 홀깃 쳐다 보셨다.




금척리 고분군은 도로를 따라 좌우로 나뉘어 있는데(정확히는 도로가 신라의 국립묘지를 감히 가로질러 난 셈) 북쪽보다 남쪽에 더 많은 고분들이 산재되어 있다. 1951년 도로 확장 공사당시 파괴된 상태의 고분 2기를 급한대로 발굴 조사를 했고 금귀고리와 곡옥 등이 출토되었다. 무덤의 형태는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으로 밝혀졌다. 




51년의 조사에 이어 76년에도 밭 사이에서 소고분들이 발견되어 발굴이 이루어졌고 81년에도 민가 보수 중 발견된 파괴된 소고분들을 발굴한 적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금척리 고분군에 대한 본격적인 대규모 발굴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 알려진 부분은 많지 않다. 비교적 도굴이 힘든 돌무지덧널무덤이긴 하다만 유물들이 멀쩡히 잘 남아있길 바란다.




공원으로 깔끔히 조성된 대릉원 쪽과 달리 금척리 고분군은 주변 정리 정도만 해둔 상태로 유지되고 있어 태고의 신비와 같은 묘한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신라 고분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는 외국인이 이 사진을 본다면 아주 특이한 지형을 찍은 것이라고만 생각할 것 같다. 얼핏 제주의 오름을 찍은 것 처럼도 보이고. 




황남대총 같은 대릉원 쪽 고분에 비하면 규모가 작지만 오늘날 고만고만한 촌동네에 불과한 이 곳에 당시에는 어떤 강성한 세력이 자리했었기에 이토록 많은 고분들을 조성할 수 있었을까 궁금해진다. 문헌 자료가 제대로 남아있지 않은 우리나라 고대사의 한계로 인해 풀리지 않는 비밀은 너무나 많은데 신라 지배층의 정체에 대한 부분 역시 마찬가지다. 금 부장품이 유독 많고 중앙아시아 및 시베리아 일대에서도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 무덤의 형식으로 인해 4-5세기 신라의 지배층은 스키타이족을 비롯한 북방 유목계가 한반도까지 남하한 무리라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일대가 정비되기 전에는 분명 무너져내린 봉토 사이사이에 민가와 밭들이 들어차 있고 겨울이면 동네 꼬마들이 고분 위에서 눈썰매를 타곤 했겠지만(아마 지금도?) 지금은 중간중간 멋지게 서있는 나무들 말고는 넓은 풀밭으로 정리되어 있다. 고도제한으로 인해 높은 건물이 적은 경주이긴 하지만 경주의 서쪽 변경 건천에서 만나는 넓은 하늘은 답답한 가슴을 제법 시원하게 뚫어준다. 오늘처럼 청명한 날씨라면 더할 나위없다.




주인 모를 고분에 세들어 살고 있는 묘도 있다. 사적으로 지정된 이곳에 제단석까지 놓인 묘가 쓰일 수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사적 지정 전부터 있던 묘라면 이해가 간다. 천년이 넘는 세월의 간격이 있겠지만 같은 공간을 나눠쓰며 또 천년을 갈 것이다. 




필름이 거의 다 되어갈 무렵 동네 어르신 한 분이 자전거를 타고 들어오셨다. 늘상 듣게 되는 '뭐 찍는교? 어디서 나왔는교?' 따위의 질문을 예상했으나 잠시 쳐다보시곤 갈 길을 가셨다. 자전거 바퀴가 구르기도 힘든 풀밭에 왜 들어오셨나 했더니 바로 옆 대밭에서 가는 대나무 몇 그루를 잘라 가셨다. 




이 회사를 다닌지 10년이 넘었는데 이제서야 이 곳을 카메라에 담다니. 역시 가까운 곳은 언제나 홀대하기 마련인가. 해가 짧아지면 5시부터인 저녁시간에 나와서 이 곳을 찍기도 버거워 질테니 틈나는 대로 소소하게 담아봐야겠다.






2017.04.12. 경주

Leica IIIa / Canon 28mm f2.8 LTM / Ilford HP5+ 400 / IVED








2017.04.23. 포항 오도리


iPhone 7


2017.02.08.

iPhone 7


Leica M3 + Carl Zeiss 50mm f1.5 Sonnar






Contax IIa / Carl Zeiss 50mm f3.5 Tessar


2017.01.22

날씨는 너무 춥고 심심해서







2016.11.25. 커튼 뒤에 숨기

iPhone 7



2016.11.27. 부산

iPhone 7

















2016.11.27. 포항

iPhone 7


잘쓰고 있던 Nexus 5가 사망하시면서 결국 아이폰으로 넘어왔다. Nexus 5x의 뻘짓을 보고는 이제 구글 레퍼런스는 버리기로. 노트7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그리로 갔을 가능성도 높았지만 폭망해버렸고 그렇다고 갤럭시나 다른 안드로이드 폰들은 통신사 어플이 덕지덕지.. 아 너무 싫었다. 결국은 깔끔하게 아이폰으로 전향했다. 




제일 핫하다는 128GB에 제트블랙인데 매장에 가니 마침 있어서 그냥 삼. 뭐 굳이 제트블랙에 환장하진 않았고 무난하게 매트블랙이나 살까 했는데 있다길래 이왕이면? 하는 심리로 샀음. 두번다시 보지 못할 깨끗한 뒷면. 이쁘긴 하다만..




어차피 의미없음.. ㄷㄷ 생폰으로 쓸 용기는 없기에 애플 정품 실리콘 케이스를 씌우고 나니 결국 매트 블랙이 됨 ㅋㅋ 케이스를 계속 씌우고 다녔는데도 뒷면엔 이미 살짝 기스 한 줄이 난 걸로 보아 약하긴 참 약한 듯. 2년 이상 잘 버텨주길.  







2016.11.24. 경주

iPhone 7



2016.11.20. 부산

iPhone 7



2016.11.18.

iPhone7 + VSCO

















2016.11.15

iPhone 7
























무보정 샷들. 어차피 폰카를 많이 쓰지 않으니 크게 의미는 없지만 늘 가지고 다니는 물건으로 이 정도 퀄리티로 찍을 수 있다는 건 참 편리한 일이긴 하다. 센서 크기의 물리적 한계는 어쩔 수 없지만 f1.8이라는 최대개방값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잘 조합하면 배경흐림 효과도 제법 낼 수 있다. 135 환산 28mm 정도의 화각도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기도 하니 나름 쓸만한 듯. 그런데 왜 이렇게 저채도인거냐. 마치 니콘 EXPEED1 시절 D700으로 찍은 JPG보는 것 같네.


+ Recent posts